github를 통한 버전관리를 잘 하기 위해서는 git 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.
위의 그림과 같이 working directory, staging area, local repsitory, remote 로 구분되어 있다.
git restore 명령과 git reset 명령은 옵션 설정에 따라 working directory로 갈 수도 있고, stating area로 갈 수도 있다.
1. restore 명령
# Staging area 에서 working directory로 이동
git restore --staged (파일명)
# working directory 이전으로 이동
git restore (파일명)
2. reset 명령의 세가지 옵션
--soft : repository에서 staging area로 이동
--mixed (defalt) : repository 에서 working directory 로 이동
--hard : 수정사항 완전히 삭제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