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hub를 연동하면서, 이제 로컬과 원격저장소 양쪽을 관리해주어야 한다.
특히, 브랜치를 만들 경우 양쪽에 함께 생성되어야 하는데 이부분에 대해 알아보자.
두 가지 경우가 있다.
첫번째는 로컬에서 브랜치를 만든 후, 원격저장소에 만드는 경우 (1)
두번째는 원격저장소에서 브랜치를 만든 후, 로컬에서 만드는 경우 (2)
1. 로컬에서 브랜치 만든 후, 원격저장소에 만드는 경우
- 로컬에 branch 생성
git branch from-local
- 생성된 브랜치로 이동
git switch from-local
- 원격 저장소로 push
git push
#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이 다시 입력하라고 안내 메시지가 나온다.
git push -u origin from-local
- 브랜치 목록 살펴보기
git branch --all
#또는 아래 다음 것.
git branch -a
2. 원격에서 브랜치를 만든 후 로컬로 받아오기
- github 사이에서 from-remote 브랜치 만들기
- 원격의 변경사항 확인
git fetch
- 로컬에 같은 이름 브랜치 생성 및 연결, 브랜치로 이동
git switch -t origin/from-remote
3. 원격의 브랜치 삭제
git push (원격 이름, origin) --delete (원격의 브랜치명)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