깃허브를 사용할 때 예전에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만 있으면 자동으로 연결되고 그랬었다.
그런데, 요즘은 주로 Token을 등록하여 사용하는 추세이다.
이 부분을 알아보자.
먼저, github에 가입을 하자. (가입하는 건 여기서 생략한다... 일반 사이트 가입과 동일하다.)
가입후 profile->Settings->Developer Settings 메뉴로 들어간다. (아래 사진 참조)
Developer Settings 로 들어가면, Personal access tokens -> Tokens(classic)로 들어간다.
아래와 같이 임으로 노트를 남기고, expiration(만료) 기간을 설정한다.
그 후에, 주로 repositary를 사용할 것이므로 repo 만 체크해준다.
토큰을 생성하고 나면, 토큰을 복사해서 꼭 메모장에 저장해둔다. (저장을 안하고 넘어가면, 토큰이 사라진다.)
그 후, 윈도우 검색에서 '자격 증명 관리'를 찾는다.
'Windows 자격 증명'을 선택하고, github.com에 대한 자격증명이 있는 지 찾아본다.
github.com 자격 증명이 있으면 수정해주면 되고, 없다면 추가해주면 된다.
인터넷 주소 또는 네트워크 주소를 git:https://github.com로 등록해주고,
사용자 이름은 github에 등록한 profile 이름을 넣어주면 된다.
암호에 저장해둔 토큰을 복사해서 붙여넣는다.
그런 다음에 github에서 new repo를 생성해주면 된다.
그 후, 생성한 repo 내의 setting에서 같이 repo를 공유할 사람들의 아이디를 추가해주면,
서로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.
최근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