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git 전역으로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준다. (이름과 이메일주소)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(이름)"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(이메일)"
-> 입력 후, 잘 저장되었는 지 확인해보자.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
2. git의 branch명을 변경해준다.
git config --global init.defaultBranch main
-> 기본적으로 master로 되어 있으므로, 이걸 main으로 이름 변경해주는 과정이다.
3. 작업 폴더 생성
4. git 초기화 명령어 입력 : 해당 작업 폴더로 이동해서, git 초기화 명령어 실행한다.
git init
5. 샘플 파일 생성하고 저장한다. 그런 후에 git의 상태를 점검한다.
->샘플 더미 파일을 첨부파일과 같이 생성한다.
-> 그런 후, 아래 명령어로 git의 상태를 점검한다.
git status
// 참고 사이트 : https://www.yalco.kr/lectures/git-github/
최근댓글